주석과 코드 스타일 가이드 (PEP8 기본)
이제 파이썬을 설치했고 VSCode도 준비되었습니다. 본격적으로 파이썬 프로그래밍을 시작해보겠습니다.
1. 파이썬에서 첫 번째 코드 작성하기
프로그래밍 언어를 배울 때 가장 먼저 해보는 대표적인 예제가 있습니다.
바로 화면에 “Hello, world!”를 출력하는 것입니다.
코드

설명
- print()는 파이썬에서 출력 함수입니다.
- 괄호 안에 있는 "Hello, world!"는 문자열(string)이며, 그대로 화면에 출력됩니다.
- 큰따옴표 대신 작은따옴표를 써도 됩니다. ('Hello, world!')
아직은 궁금한 점이 많을 거예요! 앞으로 차차 배워나갈 테니 걱정 안 하셔도 됩니다.
문자열이 무엇이고, 왜 괄호를 쳐야하고 등등 차근히 공부할 계획입니다.
2. 주석(Comment) 달기
코드에 설명을 붙이고 싶을 때는 주석을 사용합니다.
주석은 코드 실행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사람이 보기 위한 설명입니다.
코드 예시

- # 기호 뒤에 오는 모든 내용은 주석으로 처리됩니다.
- 파이썬에서는 블록 주석(여러 줄 주석)이 따로 없고, 여러 줄을 각각 #로 시작해서 씁니다.
- 실행 결과로 '안녕하세요'만 출력되었음을 볼 수 있습니다.
3. 코드 스타일 가이드 (PEP8 기본)
코드가 제대로 작동하더라도, 읽기 쉽고 깔끔하게 쓰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를 위한 공식 스타일 가이드가 바로 PEP8입니다.
여기서는 가장 기본적인 규칙 몇 가지를 정리합니다.
3.1 들여쓰기 (Indentation)
- 파이썬은 들여쓰기(공백)으로 코드 블록을 구분합니다.
- 보통 스페이스 4칸을 사용합니다. (VSCode는 자동 적용)
3.2 공백 사용
- 연산자 앞뒤에는 공백을 넣습니다.

사실 뭐 안되지는 않습니다. 다만 가독성을 고려한 것일 뿐이죠.
그러나 코딩에서 가독성은 매우 중요합니다. 치명적인 오류가 단순한 실수에서 비롯될 때가 많기 때문이에요.
- 쉼표 뒤에도 공백을 넣습니다.

이것도 안되는 건 아닙니다만, 위 설명처럼 가독성을 고려한 타이핑이죠.
3.3 한 줄 최대 길이
- 한 줄은 최대 79자 이하로 유지합니다.
- 너무 길면 줄을 나눕니다. (나중에 함수 작성 시 다시 다룹니다)
3.4 파일 끝에 빈 줄 한 줄
- 파이썬 파일 끝에는 빈 줄 한 줄을 넣는 것이 관례입니다.
4. VSCode에서 코드 실행하는 방법
1. .py 파일을 생성합니다. (예: hello.py)

2. 아래처럼 코드를 작성합니다.

3. Run에서 Run module을 클릭합니다.

4. hello.py 저장하고 아래처럼 결과 확인


마무리
이번 글에서는 파이썬의 첫 번째 코드인 print() 출력문과 주석, 그리고 기본적인 코드 작성 규칙(PEP8)을 알아봤습니다.
이제 본격적으로 변수와 자료형을 배우기 전에, 코드를 쓰는 기본적인 습관을 익혀두셨다면 좋은 출발입니다.
다음 편에서는 본격적으로 변수와 자료형부터 시작해볼게요.
👉 다음 글 예고: 파이썬 변수와 자료형 – 숫자, 문자열, 리스트란?
'# Programming Language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 🐍 [파이썬:입문 강의 2.5편] 코딩 전에 알아두어야 할 파이썬의 특징들 (2) | 2025.07.01 | 
|---|---|
| 🐍 [파이썬:입문 강의 3편] 변수와 자료형 – 숫자, 문자열, 리스트란? (0) | 2025.07.01 | 
| 🐍 [파이썬:입문 강의 1편] 파이썬이란? 왜 배우고 어디에 쓰일까? (+설치 가이드) (9) | 2025.06.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