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rogramming Language/Python

🐍 [파이썬:입문 강의 3편] 변수와 자료형 – 숫자, 문자열, 리스트란?

codesnz0 2025. 7. 1. 22:50

 

안녕하세요.
지난 글에서는 파이썬이 어떤 언어인지, 왜 배우는지, 어디에 쓰이는지 알아봤습니다.
이번 글부터는 본격적으로 프로그래밍 문법을 배워볼 차례입니다.

오늘의 주제는 변수와 자료형입니다.


✅ 변수란?

프로그래밍에서 변수는 데이터를 저장할 공간의 이름입니다.
쉽게 말해, 메모장에 무언가를 적어두는 것과 비슷합니다.

예를 들어 이런 상황을 생각해보세요.

"사과 3개"라는 정보를 저장하고 싶다 → apple = 3

파이썬 변수 선언 예시

코드: 

apple = 3 
print(apple)

 

실행 결과:

3
  • apple이라는 변수에 숫자 3이 저장됩니다.
  • print()를 이용해서 변수에 저장된 값을 출력할 수 있습니다.

✅ 자료형(Data Type)이란?

변수에 저장되는 값은 모두 자료형을 가지고 있습니다.

파이썬에서는 이 자료형을 클래스로 다룹니다. (클래스에 대해서는 나중에 배우게 됩니다.)

자료형이란 그 값의 종류 또는 형태입니다.

파이썬에서 자주 사용하는 자료형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숫자형 (int, float)

  • 정수형(int): 소수점 없는 숫자
  • 실수형(float): 소수점 있는 숫자

예시:

a = 10 # 정수 
b = 3.14 # 실수

 

※파이썬에서는 C언어에서처럼 선언없이 변수에 저장되는 데이터 타입으로 변수의 타입이 지정됩니다.

위처럼 a에 10을 대입한다면 변수 a의 자료형은 10이 되는 것이죠.

 

2. 문자열(String)

  • 문자나 문장을 저장할 때 사용
  • 작은따옴표(' ') 또는 큰따옴표(" ") 둘 다 사용 가능

예시:

name = "Alice" 
message = 'Hello, world!'

 

주의: 문자열과 숫자는 다릅니다.

print(3 + 3) # 결과: 6 
print("3" + "3") # 결과: 33

 

3. 리스트(List)

  • 여러 값을 하나로 묶어서 저장할 수 있는 자료형
  • 대괄호 []를 사용합니다.

예시:

fruits = ["사과", "바나나", "포도"]
print(fruits[0]) # 결과: 사과
  • 리스트의 **순서(index)**는 0부터 시작합니다.

사실 이렇게 단순하게 다룰 자료형은 아니긴 합니다.

후에 리스트에 사용되는 여러 유용한 함수를 배우면서 깊이 배워보겠습니다.

 

4. 튜플(Tuple)

  • 리스트와 비슷하지만, 한 번 저장하면 값을 변경할 수 없음
  • 소괄호 () 사용
 
colors = ("red", "green", "blue")

튜플은 주로 변하지 않는 데이터 묶음을 저장할 때 사용합니다.

중요한 자료형이냐 하면 아닙니다.

그러나 필요시 다룰 수 있는 자료형입니다.

 

5. 딕셔너리(Dictionary)

  • 키(key)와 값(value)의 쌍으로 데이터를 저장
  • 중괄호 {} 사용
 
person = {"name": "Alice", "age": 25} 
print(person["name"]) # 결과: Alice

 

6. 집합(Set)

  • 중복 없는 값들의 모음
  • 순서가 없습니다.
  • 중괄호 {} 사용하지만 딕셔너리와 구분됨
numbers = {1, 2, 3, 3, 2} 
print(numbers) # 결과: {1, 2, 3}

중복된 값들은 자동으로 제거됩니다.


✅ 변수 이름 짓는 규칙 (기본)

  • 영문자, 숫자, 밑줄(_) 사용 가능
  • 숫자로 시작 불가
  • 예약어 사용 금지 (예: print, for, if 등은 변수명으로 사용 불가)

※예약어란 미리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지정된 이름을 뜻합니다.

예를 들어 for이나 if는 흐름을 제어하도록 미리 그 기능이 지정된 키워드이므로 변수 이름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예시 – 가능한 변수 이름

age = 20 
user_name = "Tom"
 

예시 – 불가능한 변수 이름

2user = "Tom" # 숫자로 시작 → 에러 
for = 10 # 예약어 사용 → 에러

✅ 실습 문제

  1. 본인의 이름을 변수에 저장하고 출력하세요.
  2. 다음 데이터를 리스트로 저장해보세요: "Python", "Java", "C++"
  3. 나이, 이름을 딕셔너리로 만들어보세요.

실습 문제 정답은 다음 편에 확인해보세요!


✅ 마무리

이번 글에서는 변수가 무엇인지, 그리고 파이썬에서 자주 사용하는 자료형들에 대해 배웠습니다.
이 개념들은 앞으로 배우게 될 조건문, 반복문, 함수 등에서도 계속 사용됩니다.

다음 강의에서는 **조건문(if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질문이나 피드백은 댓글로 남겨주세요.


다음 글: 조건문 – if, elif, else 기본 문법과 예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