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rogramming Language/C++

[C++ 배우기: 기초편] 2. 변수와 기본 입출력

codesnz0 2025. 5. 27. 15:08

 

 

이번 시간에서는

C++에서 가장 기초가 되는 개념인 변수 선언과 기본 입출력을 다룹니다.
프로그래밍 언어를 처음 배운다면 특히 중요한 부분이기 때문에, 직접 코드도 작성해보면서 개념을 확실히 정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입력과 출력

먼저 기본 입출력입니다.

C++에서는 콘솔에서 값을 입력받을 때 cin, 값을 출력할 때는 cout을 사용합니다.
입력은 >>, 출력은 << 연산자를 이용하며, 한 줄에서 여러 값을 입력받을 수도 있습니다.

 

 

 

실행하시고 x, y 값을 하나씩 엔터 치며 입력해주시면 곱한 결과가 나옵니다.

 

 

원래는

std::cin, std::cout 이라고 써야 맞습니다만,

그러나 이 코드에서는 cin, cout 으로만 작성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는

using namespace std; 때문입니다.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std를 쓰지 않아도 std가 입력된 것처럼 코드가 실행됩니다.

아래 실습 코드들 모두 적용되어 있으니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변수란 무엇인가

변수는 값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공간에 붙인 이름입니다.
프로그래머는 변수를 선언하고 그 안에 값을 저장하거나 꺼내 쓰는 방식으로 데이터를 다룹니다.

C++에서 변수를 선언할 때는 먼저 어떤 자료형(type)을 쓸지 지정해야 합니다.

 

자료형 선택이 중요한 이유는,

각 자료형마다 차지하는 메모리 공간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컴퓨터의 성능은

같은 기능을 가진 프로그램이라 할지라도

메모리 공간을 얼마나 쓰는지에 따라서도 결정되기 때문에 자료형 선택이 중요하게 됩니다.

 

대표적인 자료형으로는

int(정수), double(실수), char(문자), bool(참/거짓), string(문자열)이 있습니다.

각각 살펴보겠습니다.

 

예제 코드는 한번씩 작성하고 결과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변수 선언이란?

먼저 자료형 종류를 배우기 전에 선언이 무엇인지 짚고 가겠습니다.

변수 선언(declaration)이란, 프로그램에서 어떤 이름을 가진 저장공간(메모리)을 만들겠다고 컴파일러에게 알려주는 작업입니다.

정말 쉽게 말하면 '나 이 문자를 변수로 사용할 거야~' 라고 컴퓨터에게 선언하는 것입니다.

C++에서는 변수를 선언할 때 반드시 자료형(type)을 먼저 적고, 그 다음에 변수 이름을 씁니다.

이걸 통해 컴파일러는 이 변수가 어떤 종류의 값을 저장할 것인지, 얼마나 많은 메모리를 할당해야 하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예제를 통해 살펴보겠습니다.

 

이것이 선언의 전부입니다.

컴퓨터에게 a라는 문자를 int형 변수로 쓸게! 라고 알려준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러나 선언된 변수가 항상 메모리의 빈공간을 가지는 것은 아닙니다.

값이 있는 곳을 할당 받을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값을 비워줘야 하는데 이 과정을 초기화라고 합니다.

 

 

이것이 초기화의 전부입니다.

이로써 변수 하나를 온전히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그리고 아래 예제와 같이 동시에 여러 변수를 선언함과 동시에 초기화도 가능합니다.

이어서 자료형을 본격적으로 배워보겠습니다.


정수형 (Integer Types)

정수형은 소수점이 없는 정수를 저장할 때 사용합니다.

  • short: 작은 정수 (2바이트)
  • int: 일반적인 정수 (4바이트) ㅡ> 주로 쓰이는 정수 자료형
  • long: 더 큰 정수 (4 또는 8바이트)
  • long long: 매우 큰 정수 (8바이트)
  • unsigned: 음수를 제외한 양의 정수


실수형 (Floating-Point Types)

실수형은 소수점이 있는 숫자를 저장할 때 사용합니다.

  • float: 단정밀도 실수 (4바이트)
  • double: 배정밀도 실수 (8바이트, 일반적으로 더 정확함) ㅡ> 주로 쓰는 실수형
  • long double: 고정밀도 실수 (16바이트까지도 가능)

 

※ float 값은 끝에 f를 붙여주는 것이 명확합니다. 웬만하면 붙이고 사용하지는 않지만 강의이므로 사용하였습니다.


문자형과 문자열 (Character & String)

문자형은 단일 문자를 저장하고, 문자열형은 문자들의 집합(문장, 단어 등)을 저장합니다.

  • char: 문자 한 개 ('A', '3', '?')
  • string: 문자열 ("Hello"), #include <string> 문으로 헤더파일 포함해야 함

 

주의할 점은,

문자형은 작은따옴표 ' '를, 문자열은 큰따옴표 " "를 사용하는 부분입니다.

 


논리형 (Boolean)

논리형은 참/거짓을 저장하는 데 사용됩니다.

  • bool: true 또는 false 값을 가짐

마무리

이번 글에서는 C++의 대표적인 자료형을 정리하고, 콘솔을 통한 입력/출력 방법을 살펴봤습니다.
자료형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은 변수 선언과 데이터 처리를 올바르게 하기 위한 전제 조건입니다.
다음 글에서는 조건문과 반복문을 통해 프로그램 흐름을 제어하는 방법을 다룰 예정입니다.

 

다음 편: 조건문과 반복문

 

필요하면 실습문제나 요약 정리도 함께 추가해드릴 수 있습니다.

계속해서 이어지길 원하시면 댓글로 요청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