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rogramming Language/C++

[C++ 배우기: 기초편] 3-2. 연산자와 제어문(Operator & Control Statement)

codesnz0 2025. 6. 5. 12:34

3-2. 제어문(Control Statement)

앞서 연산자에 대해 배웠다면, 이제는 그 연산자들이 어디에 어떻게 활용되는지 직접 확인해볼 시간입니다.

바로 제어문(Control Statement) 을 통해 프로그램의 흐름을 제어해 보겠습니다.

프로그래밍에서는 "조건에 따라 다르게 동작" 하거나, "특정 코드를 반복 실행" 해야 할 때가 매우 많습니다.

예를 들어,

  • 점수가 90점 이상이면 합격!
  • 비밀번호가 맞을 때만 로그인!
  • 어떤 조건이 거짓이 될 때까지 계속 반복!

이럴 때 필요한 것이 바로 조건문반복문, 즉 제어문입니다.

이번 3-2에서는 그중에서도 조건문을 먼저 다뤄보겠습니다.


1. 조건문 (if 문)

조건문은 특정 조건이 참(true)일 때에만 코드를 실행하도록 합니다.

실행되는 코드는 중괄호 내부 코드입니다.

 

여기서 전 시간에 배운 논리연산자비교연산자가 사용됩니다.

논리연산자는 &&, ||, !

비교연산자는 <, <=, >, >=, ==, != 가 있습니다.

바로 예제 코드를 보면서 이해해보겠습니다.

 

 

 

 

 

 

위 코드는 score가 80 이상일 경우에만 "합격입니다!"를 출력하는 가장쉬운 형태의 if문입니다.

score 변수에 85가 저장되어 있으므로 80보다 크거나 같다는 조건을 만족시켜 괄호 내부가 참이됩니다.

참이 되므로 중괄호 코드가 실행됩니다. 


2. if - else 문

조건이 참일 때와 거짓일 때를 나눠서 각각 다른 행동을 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조건이 거짓일 때는 else 뒤에 따라오는 중괄호 내부 코드를 실행합니다.

 

 

 

 

 

 

 

여기서는 score가 65이므로 else 뒤 중괄호 코드가 실행되어 "불합격입니다."를 출력하게 됩니다.


3. else if 문

조건이 여러 개인 경우에는 else if를 사용합니다.

위 개념이 이해되었다면 쉽게 이해될 것입니다.

추가 조건은 else if(조건문)의 형식으로 작성됩니다.

 

조건을 위에서부터 차례로 검사하기 때문에, 먼저 참이 되는 조건만 실행되고 나머지는 무시됩니다.


4. 중괄호 {} 생략 주의

if나 else에 실행할 코드가 한 줄만 있다면 중괄호는 생략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습관적으로 항상 중괄호를 쓰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쓰는 것이 다른 사람이 코드를 볼 때 가독성이 좋습니다.

한 줄일 때는 이렇게 써도 되지만, 나중에 코드를 추가하다가 실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5. 조건문에서 연산자 사용

앞서 배운 비교연산자(==, !=, >, < 등)논리연산자(&&, ||, !) 는 여기서 본격적으로 사용됩니다.

아래 조건문을 의미적으로 이해해보면 편합니다.

나이가 18이상이고, 아이디가 있는지 여부를 동시에 판단합니다.

 

그래서 두 조건이 모두 참일 경우에만 "입장 가능합니다."가 출력됩니다.

 

만약 조건문이 "age >= 18 || hasID" 라고 작성되었다면 조건문이 참이 될 경우는 어떻게 나누어질까요?

한번 생각해보시면 좋습니다.


마무리

이번 시간에는 조건문, 특히 if, else if, else에 대해 배워봤습니다.

  • 조건문의 핵심은 bool 값입니다.
  • 비교/논리 연산자를 활용해 조건을 설정합니다.
  • 코드 흐름을 분기시킬 수 있게 되어, 점점 프로그램 다운 프로그램이 되어갑니다.

다음 시간에는 반복문(while, for 등)을 다루어 보겠습니다.

그전에, 조건문을 연습해보고,

  • 다양한 조건 설정
  • 참/거짓 판단
  • if - else 구조 익히기

를 통해 제어문의 감을 잡아보시기 바랍니다.

👉 추천 연습: 점수를 입력받아 학점 출력하기, 나이에 따라 요금 계산하기 등